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게 되는 카드의 번호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6
예제 출력 1 복사
4
문제 요약
숫자 1개를 주어주면 리스트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넣는다. 그 후 1개의 값은 빼고 또 1개를 빼서 리스트의 마지막에 넣는다. 이를 1개가 남을 때까지 반복한다.
접근 방식
1. queue 자체를 일반 리스트로 사용하게 된다면 첫 번째 값을 없애게 되었을때 한개씩 줄이게 된다면 시간 소요가 많이 생긴다.
따라서 연결리스트로 만들어 구현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class Node:
def __init__(self, x=-1):
self.data = x
self.link = None
self.size = 0
def push(self, next_node):
self.link = next_node
head = tail = Node()
for i in range(1, int(input())+1):
tail.push(Node(i))
tail = tail.link
head.size += 1
step = False
while head.size != 1:
step = not step
if step:
head.link = head.link.link
head.size -= 1
else:
tail.link = head.link
head.link = head.link.link
tail = tail.link
tail.link = None
print(head.link.data)
|
2. python에서 제공해주는 deque를 통해 구현
1
2
3
4
5
6
7
8
9
10
11
12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queue = deque([i for i in range(1, int(input())+1)])
length = len(queue)
while length > 1:
queue.popleft()
length -=1
queue.append(queue.popleft())
print(queue[0])
|
'알고리즘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 18258 큐2 (0) | 2022.10.03 |
---|---|
알고리즘 - 1874 스택 수열 (0) | 2022.10.02 |
알고리즘 - 4949 균형잡힌 세상 (0) | 2022.10.02 |
알고리즘 - 9012 괄호 (0) | 2022.10.02 |
알고리즘 - 10773 제로 (0) |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