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찍기 - 10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1 초 | 256 MB | 48522 | 25587 | 19050 | 52.799% |
문제
재귀적인 패턴으로 별을 찍어 보자. N이 3의 거듭제곱(3, 9, 27, ...)이라고 할 때, 크기 N의 패턴은 N×N 정사각형 모양이다.
크기 3의 패턴은 가운데에 공백이 있고, 가운데를 제외한 모든 칸에 별이 하나씩 있는 패턴이다.
***
* *
***
N이 3보다 클 경우, 크기 N의 패턴은 공백으로 채워진 가운데의 (N/3)×(N/3) 정사각형을 크기 N/3의 패턴으로 둘러싼 형태이다. 예를 들어 크기 27의 패턴은 예제 출력 1과 같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3의 거듭제곱이다. 즉 어떤 정수 k에 대해 N=3k이며, 이때 1 ≤ k < 8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7
예제 출력 1 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 분석
- 같은 문양이 반복
- 하나의 큰 모양 = 내부 작은 같은 모양의 반복

해결
- 하나의 모양을 완성하는 코드 부터 작성 (9~14줄)
- 같은 동작 반복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되므로 위치를 알려주는 변수 추가(posY, posX)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val = int(input())
N = 3
arr = [[" " for _ in range(val)] for __ in range(val)]
def star(step, posY, posX):
if step == 0:
arr[posY][posX] = "*"
return
for y in range(3):
for x in range(3):
tempY = step * y + posY
tempX = step * x + posX
if not (y % N == 1 and x % N == 1):
star(step//N, tempY, tempX)
star(val//N,0,0)
for x in range(val):
for y in range(val):
print(arr[y][x], end="")
print("")
|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2231] 분해합 (0) | 2022.04.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