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4
push 1
push 2
top
size
empty
pop
pop
pop
size
empty
pop
push 3
empty
top
예제 출력 1 복사
2
2
0
2
1
-1
0
1
-1
0
3
예제 입력 2 복사
7
pop
top
push 123
top
pop
top
pop
예제 출력 2 복사
-1
-1
123
123
-1
-1
문제 요약
스택 구현
접근 방식
스택 은 FILO(First in Last out) 방식 입니다. 스택의 쌓는다는 정의와 똑같다 볼 수 있다.
스택은 대표적으로 함수가 호출될대 사용하게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import sys
N = int(input())
stack = []
def push(data):
stack.append(data)
def pop():
global stack
if size() == 0:
return -1
last = stack[-1]
stack = stack[:-1]
return last
def size():
return len(stack)
def empty():
return 0 if size() else 1
def top():
if size() == 0:
return -1
return stack[-1]
for i in range(N):
command = sys.stdin.readline().split()
if command[0] == "push":
push(command[1])
elif command[0] == "pop":
print(pop())
elif command[0] == "size":
print(size())
elif command[0] == "empty":
print(empty())
elif command[0] == "top":
print(top())
|
'알고리즘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 9012 괄호 (0) | 2022.10.02 |
---|---|
알고리즘 - 10773 제로 (0) | 2022.10.02 |
알고리즘 - 13305 주유소 (0) | 2022.10.02 |
알고리즘 - 1541 잃어버린 괄호 (0) | 2022.10.02 |
알고리즘 - 11399 ATM (0) |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