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도커 사용기] 2 - Docker Compose로 배포 환경 구성
지금부터 구축하고자 하는 환경은 Spring boot와 mysql에 대해 진행할 예정이고, Docker compose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와 Docker compose를 사용했을 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성 환경 먼저 db에서 테스트와 실행 관경이 분리되어 있고, 패키지를 할 때 테스트까지 동작시켰기 때문에 `test DB`와 `일반 DB`를 나눴습니다. 따라서 각각을 실행 시켜줘야 하고, 이러한 테스트 db에 spring boot가 접근이 가능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현재 폴더 구조입니다. Dockerfile과 Docker cil를 통한 예를 진행할 때는 mvn은 be폴더, mysql관련은 gonggam폴더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Docker-compose를 사용했을 때에는 gonggam폴더 내..
[도커 사용기] 1-2. 도커 이미지 & Volumn & 네트워크
지난번에 도커가 어떻게 나왔고, 어떤 구성으로 되어있는지 간략하게 봤다면, 이번에는 도커에서 로깅이나 데이터를 관리할 때 사용하게 되는 Volumn과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이번 편은 참고한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자세히 나와있지만 필요한 부분만 요약 및 정리했기 때문에 자세히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참고 링크를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커의 Image 구성 도커의 이미지는 여러 layer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이에 대해 한 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도커의 이미지는 Docker hub에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다운 받는 순간부터 많은 정보를 주는데 이 부분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docker pull mysql:latest 현재 mysql의 ..
[도커 사용기] 1 . 도커란?
도커에 대해 처음 사용을 해보면서 도커가 무엇인지, `Dockerfile`, `Docker compose`, `Docker hub`등 여러 개가 있는데 이건 뭐고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공부하고 사용했던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커란?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이다. WHY 도커? 우리가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는 개발을 하다 보면 여러 버전이나 라이브러리, 런타임등을 일관성 있게 관리를 해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만약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었다가 리눅스 환경에서의 설정이 필요하다거나, 배포하려는 서버가 리눅스여서 환경이 달라져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도 생기겠죠, 그렇기 때문에 여러 방식으로 해결책이 있었는데 `멀티 부팅`과 `가상머신`이었습니다. 그리고 도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상머신의 ..